전체 글
-
CDN은 왜 사용할까? GSLB는 무엇일까?자바웹프로그래밍 2024. 10. 4. 09:50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을 사용하는 이유는 주로 성능 향상, 사용자 경험 개선, 그리고 서버 부하 감소를 위함입니다.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전송 속도 향상: CDN은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를 통해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지연 시간을 줄이고 웹 페이지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합니다.서버 부하 분산: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할 때 하나의 서버에만 요청이 몰리는 경우 서버가 과부하되거나 다운될 수 있습니다. CDN은 여러 서버로 트래픽을 분산시켜 서버 부하를 줄여줍니다.높은 가용성 및 신뢰성: CDN은 여러 지역에 서버를 분산시켜 두기 때문에 한 지역의 서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다른 서버가 이를 대신..
-
왜 kafka를 사용하는것인가? 만약 kafka가 없었다면..?웹서버/kafka 2024. 10. 3. 08:42
Kafka 없이 데이터를 처리할 때의 복잡성서버 간 직접 연결: 여러 서버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서로 필요한 데이터를 받아오기 위해 서버 간 직접적인 연결을 설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서버 A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서버 B, C, D가 각각 받으려면, 각 서버 간에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코드를 작성해야 합니다.다양한 프로토콜: 각 서버가 데이터를 다르게 처리하거나,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나 데이터 포맷이 다를 경우, 데이터 변환과 통신을 위한 코드가 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어려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여러 곳에서 동시에 처리하려면, 각각의 서버 간 데이터 동기화를 관리해야 하며, 이 역시 복잡한 문제로 이어집니다.이렇게 여러 서버 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
-
redis centinel이란 무엇이며, 설정방법데이터베이스/redis 2024. 10. 1. 08:32
Redis Sentinel은 Redis 클러스터의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Redis Sentinel은 Redis 인스턴스의 모니터링, 장애 감지, 자동 장애 조치(failover) 및 클러스터의 구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Redis 서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Sentinel이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마스터 Redis 인스턴스를 교체하여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Redis Sentinel의 주요 기능:모니터링: Sentinel은 Redis 마스터와 슬레이브 인스턴스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인스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장애 감지: 마스터가 응답하지 않을 경우, Sentinel은 이를 감지하고 해당 인스턴스를 장애 상태로 판단합니다.자동 장..
-
로컬 캐시(Local Cache)와 글로벌 캐시(Global Cache)는 캐시의 범위와 사용 방법자바웹프로그래밍 2024. 9. 30. 14:54
1. 로컬 캐시 (Local Cache)로컬 캐시는 개별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또는 서버)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캐시입니다. 특정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에만 유효하고, 다른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와 공유되지 않습니다. 주로 서버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자주 접근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특징:빠른 접근 속도: 메모리 내에 캐시되어 있어 매우 빠른 접근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통신이 필요 없습니다.서버별 독립성: 각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가 자신만의 캐시를 유지합니다. 서로 다른 서버 간에는 캐시가 공유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서버의 캐시 업데이트를 반영할 수 없습니다.스케일 문제: 여러 대의 서버가 있는 경우, 각 서버가 다른 버전의 캐시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
-
이더리움의 애플리케이션 바이너리 인터페이스(ABI, Application Binary Interface)블록체인 2024. 9. 25. 17:39
이더리움의 애플리케이션 바이너리 인터페이스(ABI, Application Binary Interface)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외부 애플리케이션 간의 소통 방식을 정의한 규약입니다. 이더리움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코드로, 이를 실행하려면 외부에서 정확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보내야 합니다. ABI는 이러한 데이터의 형식과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을 정해줍니다.ABI의 역할:함수 호출 규칙: 스마트 컨트랙트는 여러 함수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ABI는 어떤 함수를 호출할지, 그리고 그 함수에 어떤 데이터를 보내야 할지 정해줍니다.데이터 인코딩: ABI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전달할 데이터 형식을 정의하고, 컨트랙트가 반환하는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실생활 예시:ABI를..
-
이더리움 on chain, off chain 이란 무엇인가?블록체인 2024. 9. 21. 09:32
1. 온체인(On-chain)온체인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직접적으로 실행되고 기록되는 트랜잭션입니다. 모든 노드가 해당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합의에 도달한 후 블록에 기록하게 됩니다. 이는 이더리움의 핵심 기능 중 하나로, 탈중앙화, 투명성, 변경 불가능성을 보장합니다.특징:블록체인 상에서 실행: 모든 트랜잭션이 블록에 기록되며, 검증 및 합의 과정이 필요합니다.변경 불가능성: 블록체인에 기록된 데이터는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습니다.비용: 온체인 트랜잭션은 네트워크 상에서 **가스 비용(Gas Fee)**이 발생합니다.속도: 블록 생성 속도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처리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예제: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DApp)에서 스..
-
**오라클 네트워크(Oracle Network)**란 무엇인가?블록체인 2024. 9. 21. 07:26
오라클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시스템 내에서 외부 세계의 데이터를 블록체인으로 안전하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입니다. 블록체인은 본질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데이터만을 다루며, 외부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접근하거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오라클 네트워크는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여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 외부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스마트 컨트랙트는 블록체인 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인데, 예를 들어 날씨, 주식 가격, 스포츠 경기 결과 등 블록체인 외부의 정보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이 정보를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게 가져오기 위해 오라클이 필요한 것이죠.오라클 네트워크의 탄생 배경블록체인의 불완전성(폐쇄성):블록체인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자급자족형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블록..
-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이란블록체인 2024. 9. 19. 22:47
EVM(Ethereum Virtual Machine)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는 가상화된 컴퓨터 환경입니다. 이더리움의 핵심 요소로, 분산 애플리케이션(dApps)을 실행하고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에 EVM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계약을 실행하고 네트워크의 합의를 유지합니다.EVM의 주요 기능과 역할:스마트 계약 실행:EVM은 스마트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스마트 계약은 사전에 정의된 조건이 충족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Solidity와 같은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됩니다.작성된 스마트 계약은 바이트코드로 컴파일되어 EVM에서 실행됩니다.상태 관리:이더리움 블록체..